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썰의 전당

덤프버전 :

예썰의 전당
파일:예썰의전당메인포스터.jpg
채널파일:KBS 로고(1984-2023).svg
장르시사, 교양, 토크쇼
방송 시간토 / 오후 10:25 ~ 11:15[1]
방송 기간2022년 5월 8일 ~ 2023년 6월 3일
제작진책임 프로듀서송현경
프로듀서박건영
PD전아영, 최윤화, 김영경, 이주아
연출서재호, 박정연, 이성희, 황지현, 민선기, 노현우, 안효준, 장예솔, 박소이
작가이혜나, 정세영, 이미령, 김선영, 곽청흔, 김혜인, 이승후, 김솔빈
FD김도희, 우경은
리서치송언민, 이현주, 최가온
진행김구라
출연재재, 양정무, 김지윤, 조은아, 심용환
제작 해상도HD 제작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2]

1. 개요
2. 상세
2.1. 고정 출연자
3. 방영 목록
3.1. 2022년
3.2. 2023년
4. 여담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하나의 예술 작품에는 예술가의 삶뿐만 아니라 당대의 시대상과 사회상이 담겨 있고, 그 때문에 예술가 개인에 대한 이해부터 시작해서 역사적, 미학적, 나아가 사회과학, 심리학, 경제학적 접근까지 다양한 감상법이 존재한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대한민국에서 '썰'을 푸는 걸로 둘째가라면 서러운 전문가들이 모여 예술 작품을 둘러싼 창의적인 감상법을 공유한다.

그리고 어제의 예술이 품은 '썰'을 통해 오늘의 시청자들에게 통찰과 위로를 전해주고자 한다.


2. 상세[편집]


예술의 전당에서 패러디한 것으로 보이며, 제목대로 예술에 대해서 썰을 풀어놓는 KBS 교양 프로그램이다. 김구라가 진행한다.[3] 그리고 다른 패널들이 예술작품과 관련된 이슈, 역사, 사회, 과학, 인문, 문화, 경제, 정치 분야 등 다양한 분야와 관련해 각종 정보, 전문적인 지식 및 썰을 푼다.

초반에는 서양미술작품들을 다루다가, 점차 문학, 음악 분야도 다루는 편이지만, 주제에 관한 오프닝 작품은 대체로 미술작품으로 시작한다.


2.1. 고정 출연자[편집]


  • 재재 - 메인 MC를 보좌하는 보조 엠씨를 담당하고 있으며, 예술작품들을 잘 모르는 일반인을 대신하여 질문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 양정무 - 미술을 담당하고 있으며, 음악 주제가 나올 경우 불참하는 경우가 있다.

  • 김지윤 - 정치학, 전반적인 유럽 역사의 흐름 설명을 담당하고 있다.

  • 심용환은 역사와 철학 등 인문학을 담당하고 있으며 김지윤의 대략적인 설명을 보충하는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 조은아는 피아니스트 출신으로 음악을 담당하고 있으며 쇼팽편에서는 직접 연주를 보여주기도 했다.


3. 방영 목록[편집]



3.1. 2022년[편집]


회차방송일부제비고
15월 8일위대한 도전 - 레오나르도 다 빈치
25월 15일나를 찾아서 – 뒤러의 자화상
35월 22일예술을 품은 도시, 피렌체
45월 29일욕망의 재발견 - 브뤼헐
56월 5일인간 미켈란젤로, 완벽을 꿈꾸다
66월 12일내 이름은 단테, 지옥을 견디는 자 - 단테의 신곡 1부
76월 19일내 이름은 단테, 지옥을 견디는 자 - 단테의 신곡 2부
86월 26일네 멋대로 해라 – 세르반테스돈키호테
97월 3일삶의 빛과 그림자 - 렘브란트
107월 10일“우리가 알지 못했던 사계”– 사계
117월 17일색이 흐르는 물의 도시 베네치아
127월 24일융합의 마에스트로, 루벤스
137월 31일누구를 위하여 붓을 들었나 – 벨라스케스 '시녀들'
148월 07일일상을 예찬하다 - 페르메이르
158월 14일왕의 무대 – 베르사유 궁전
168월 21일눈부시게, 위대하게 – 마담 퐁파두르의 살롱
178월 28일햄릿이 묻다. ‘사느냐 죽느냐’
189월 4일풍요의 시대 , 발칙한 시선
199월 18일혁명의 시대 1부, 나폴레옹 , 예술을 통치하다
209월 25일혁명의 시대 2부, 어둠에서 빛으로 - 베토벤안우성[4]
2110월 2일더 나은 세계, 뜨거운 기록 – 레 미제라블 1부
2210월 9일더 나은 세계, 뜨거운 기록 – 레 미제라블 2부
2310월 16일삶을 위로하다, 밀레
2410월 27일지금 이 순간 마법처럼, 클로드 모네
2511월 06일황금빛으로 물든 반항 - 클림트
2611월 13일영원한 이방인의 노래, 쇼팽안우성[5]
2711월 20일나만의 스타일로 승부하라 - 프란츠 리스트정한빈[6]
2811월 27일미술관에 걸린 편지 - 빈센트 반 고흐
2912월 4일무엇이 마음을 흔드는가, 알폰스 무하
3012월 11일전쟁과 평화, 파블로 피카소
3112월 18일별들의 고향 - 마르크 샤갈
3212월 25일성탄 특집: 크리스마스엔 선물을


3.2. 2023년[편집]


회차방송일부제비고
331월 1일봄을 향한 진심 - 이중섭
341월 8일작은 것들을 위한 시 - 박수근
351월 15일뿌리 깊은 나무 - 김환기
361월 22일나의 길을 가련다 - 장욱진
371월 29일색다른 꿈을 꾸다. - 앙리 마티스
382월 5일밤의 방랑자 - 뭉크
392월 12일위대한 쇼맨 - 살바도르 달리
402월 19일가우디
412월 26일
423월 5일유홍준과 함께하는 서울문화기행 1부
궁궐의 도시 서울
줄리안[7]
423월 12일유홍준과 함께하는 서울문화기행 2부
서촌만보
423월 19일유홍준과 함께하는 서울문화기행 3부
성북동 연가
김인혜[8]
433월 26일유홍준과 함께하는 서울문화기행 4부
망우역사문화공원
444월 1일괴물 이야기(프랑켄슈타인, 뱀파이어)곽재식[9]
454월 8일헤어질 결심(카미유 클로델, 수잔 발라동)우정아[10]
464월 15일니콜로 파가니니KoN[11]
474월 22일오만과 편견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정한빈[12]
안우성[13]
484월 29일미술사 잔혹사 1부 위작 스캔들손이천 경매사
495월 6일미술사 잔혹사 2부 도난 스캔들미술품 도난 변호사
505월 13일주제페 베르디 1부알베르토 몬디
515월 20일주제페 베르디 2부알베르토 몬디
525월 27일에드워드 호퍼
536월 3일르네 마그리트이 회차를 마지막으로 종영.


4. 여담[편집]


  • 방송 3사 중에 본격 예술에 대한 토크쇼는 이 프로그램이 유일했었다. 다른 채널에서도 시도는 하였으나 여러가지 이유로 얼마 못가 조기 종영하는 경우가 많았는데[14] 거의 1년 가까이 유지하는것도 이 프로그램이 유일했었으나 이 프로그램도 1년 남짓을 넘기고 결국 종영을 하게 되었다.

  • 초창기에는 과학 파트로 장동선 박사가 출연하였으나 생각보다 과학 파트로 나올 분량이 없어서 점점 출연 분량이 줄다가 15화 이후로는 심용환으로 바뀌게 되었다.

  • 음악 파트인 경우 예외적으로 게스트를 초대하는데 그때마다 양정무 교수가 불참하는 편이었다.

  • 목요일 밤에 재방송을 하는 경우, MBC에서는 공포 이야기하는 김구라가 이 방송에서는 예술을 이야기하는 멀티버스를 볼 수 있었다.


5.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01:17:33에 나무위키 예썰의 전당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3년 4월 1일부터[2] KBS 지식 채널에서 다른 여러 교양프로들을 편집해서 올린다.[3] 김구라의 경우 라디오스타와는 정반대의 컨셉을 가지고 진행을 한다. 의외로 예술에 관심이 많다보니 배우는 자세로 진행하는 편이다.[4] 음악감독[5] 음악감독[6] 피아니스트[7] 고정 출연진 중 심용환과 재재만 출연했고, 유홍준 교수 본인과 벨기에 출신인 줄리안이 게스트로 출연했다.[8]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관[9] 작가, 숭실사이버대학교 환경안전공학과 교수[10] 미술사학 박사.[11] 바이올리니스트[12] 피아니스트[13] 음악감독.[14] 심지어 다시보기 기능도 거의 불가능하는 프로그램도 많다.